본문 바로가기
경제꿀정보

2022 청년희망적금 폐지 feat.청년도약계좌 혜택 및 가입조건

by 원_파인데이 2022. 9. 17.

올해 초만해도 금융당국에서는 시중은행과 연계하여 저소득 청년들에게 고금리의 혜택을 제공하는 청년희망적금을 출시했었는데요. 표면적으로 금리는 5%-6% 수준이었는데, 납입 기간에 따른 저축 장려금 지급과 이자 소득에 대해 전액 비과세 혜택을 적용해주었기 때문에 일반 시중은행의 적금 통장과 비교했을 때 실질적으로 받을 수 있는 금리 혜택은 무려 10.6%에 달해서 인기가 어마어마 했었죠.

 

그래서 많은 청년들이 가입하기 시작했고, 무려 290만명에 달하는 청년들이 몰리며 금융사 앱까지 마비시키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었는데요. 당초 금융 당국에서는 38만명 정도라고 예상했었는데, 290만명이라니 뭐 그 인기는 숫자에서 알 수 있는것 같습니다.

 

올해 초 청년 희망적금이 출시됐을 때만 해도, 신청 가능한 기간은 고작 2주였는데요. 그 2주동안에 심지어 5부제를 적용하여 신청기간을 놓쳐 가입하지 못했던 청년들도 많았습니다. 물론 잘 챙기지 못한 개인의 잘못이 크지만, 전년도 소득을 확인할 수 있는 소득금액증명원이 7월-8월에 발급되는 것 때문에 21년도에 취업을 했던 사회 초년생들은 소득 기준을 모두 충족함에도 불구하고 신청하지 조차 못하는 불상사가 발생하기도 했죠.

 

그래서 많은 청년들이 이에 대해 불만을 토로하기 시작했고, 이로인해 불거진 형평성 논란으로 인하여 금융위에서는 7월에 재출시를 검토하겠다고 했으나 최근 아래와 같은 공식 입장을 발표했습니다.

 

8/30 발표한 금융위원회의 2023 회계연도 예산안 편성 보도자료

 

사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청년희망적금의 추가가입을 재개하지 않을 예정이라고 하며, 대신 청년도약계좌를 조속히 출시하여 가입기회를 제공한다고 되어있으니 사실상 청년희망적금은 폐지되고 청년도약계좌로 변경 재개 되는 것으로 봐야할 것 같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주요 혜택 및 가입 기준

 

 

상품개요

- 5년 동안 납입 시, 최대 5천만원을 청년에게 지급

 

10년간 1억을 지급해줘 1억 통장이라고도 불리던 청년도약계좌에 편성된 예산이 약 절반가량으로 줄어들고, 당초에 계획했던 10년을 5년으로 줄이며 혜택 역시 5년 5천만원으로 축소되었습니다. 사실 이건 호불호가 갈릴 듯 한데, 저는 10년 납입보다는 짧은 기간을 선호하기 때문에 5년 5천만원이 더 낫게 느껴지네요. 조삼모사인듯 합니다. 남은 5년에 대한 기회비용과 물가상승률을 고려했을 때에도 5년으로 줄어드는 게 더 괜찮게 보입니다.

 

가입대상

1.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 청년

2. 개인 소득 6,000만원 이하

3. 가구 소득은 중위 소득의 180% 이하

 

신청 가능한 가입 대상은 위와 같으며, 조건이 꽤 여유가 있는 편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청년들이 가입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참고로 병역 이행 기간은 산입되지 않기 때문에 2년간 군복무를 마친 사람들은 만 36세까지 가입할 수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납입기간 및 납입금액

1. 가입기간 - 5년

2. 월 납입금액 - 40만원 - 70만원

 

 

청년들이 부담하게 될 월 예상 납입액은 40-70만원이며, 여기에 더하여 정부가 보태주는 금액은 납입액의 최대 6% 정도라고 합니다. 추가로 청년도약계좌를 통해서 발생된 이자소득은 전액 비과세 혜택이 적용될 예정입니다만, 금융사에서 제공하는 금리나 월 납입 방식은 시중은행과 협의가 필요하다고 했으니 구체적인 금리 혜택은 추가 발표에 따라 알 수 있을것 같네요.